신고전주의(Neo-classicism, 1750~1850)

신고전주의는 로코코와 바로크에 대한 반감에서 시작한 예술 사조다. 허영이 넘치고 사치스러운 예술 문화를 사회에 주입하던 로코코와 과하게 장식적이고 화려한 바로크 스타일에 반대하여 탄생했다. 사회 전반에 고전 사상의 부흥을 가져온 신고전주의는 프랑스 혁명의 근간이 되기도 했다.

이 운동은 예술이 삶의 이상과 미덕을 표현해야 하며, 도덕적인 메시지를 전달해 인간을 선하게 교화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 운동이 유행하던 당시 사회 전반에 과학적 진리의 발견과 문명의 발전에 힘입어 혁신과 개혁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쳤다.

신고전주의 건축은 단순성과 대칭성, 수학의 원칙을 기반으로 했다.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 예술의 미덕으로 여겼던 요소다. 그리고 미술에서는 이 운동의 영향으로 학생들과 귀족들이 고대 예술의 미학과 철학을 공부하기 위해 이탈리아 등지에 여행을 떠나는 그랜드 투어가 인기를 끌었다.

신고전주의

신고전주의의 뿌리

신고전주의는 프랑스 왕립예술학교가 정한 회화의 위계를 근간에 두고 시작된 예술 운동이다. 이 위계질서의 가장 꼭대기에는 고전 신화, 성서, 역사 등을 주제로 그려진 역사화가 있었고, 그 뒤를 초상화, 장르화, 풍속화가 이었다. 성서, 고전신화, 역사 등을 주제로 한 역사화가 상위 범주에 올랐고, 초상화, 장르화, 풍속화가 그 뒤를 이었다. 이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두 예술가 니콜라 푸생(Nicolas Poussin) 과 클로드 로랭(Claude Lorrain)의 작품은 역사화의 모범으로 꼽혔다. 두 사람 다 프랑스 바로크 예술가였지만 로마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클로드 로랭은 신화 또는 성서의 인물을 그리면서 자연의 세부 묘사와 빛의 효과를 사용하여 풍경을 그렸다. 그의 질서정연한 조화의 효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 ‘아폴로가 아드메토스의 무리를 지키고 그들을 훔치는 머큐리가 있는 풍경(1645)’이다. 이 작품은 예술이 인간의 이상적 미덕을 전달해야한다는 신고전주의 믿음을 보여주고 있다.

니콜라 푸생은 종교적 주제를 다루기로 유명했지만, 신화와 역사적 장면도 많이 그렸다. 그는 ‘The Death of Germanicus (1627)’를 그려 유명해졌으며, 신고전주의 예술의 정점을 찍은 자크 루이 다비드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푸생은 명확성과 논리성을 강조하여 작품을 구성했으며 강한 선으로 비유적 처리를 표현했다.

그랜드 투어

신고전주의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고대 유적지와 유물의 발견에서 다양한 영감을 받았다. 이를 여행하고 탐험한 그림 보고서는 유럽 전역에 알려졌다. 문화 평론가 Matt Gross는 고대 유적지를 자신의 눈으로 직접 보고 경험하고 싶어 ‘그랜드 투어(Grand Tour)’를 떠난 유럽의 젊은 귀족들이 예술과 문화, 서구 문명의 뿌리를 찾아 이탈리아를 여행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로마 유적, 르네상스 작품을 비롯해 최근까지 발견된 다양한 유물을 볼 수 있는 이탈리아 로마는 그랜드 투어의 주요 명소였다. 이탈리아의 유명 예술가 폼페오 바토니(Pompeo Batoni), 안토니오 카노바(Antonio Canova) 등은 열렬한 미술품 수집가이자 작품 의뢰자인 그랜드 투어리스트를 위해 오픈 스튜디오를 열곤 했다.

요한 요아킴 빙켈만

신고전주의는 로마에서 시작됐다. 요한 요아힘 빙켈만의 『회화와 조각에 있어서 그리스 작품의 모방에 관한 생각』 (1750)은 이 운동의 이론을 정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요한은 독일인이었으나 삶의 대부분의 시간을 로마에서 보냈으며, 저명한 가톨릭 관리들의 그를 후원했다. 그는 예술은 ‘고상한 단순함과 고요한 웅장함’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아마 흉내낼 수는 없겠지만 우리가 위대해지는 단 한 가지 방법은 고대인을 따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계몽주의

신고전주의는 계몽주의와 함께 발전했다. 계몽주의는 이성과 과학을 중시하는 정치적, 철학적 운동이다. 군주제와 종교적 교리의 절대성에 의문을 제한 계몽주의는 유명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의 회의론과 존 로크의 정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이 사상의 중요 출판물로 알려지진 프랑스 백과사전 ‘Encyclopedia(1751-1772’는 전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를 편집하고 출판한 데니스 디드로(Denis Diderot)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기 위해 이 저작물을 출간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계몽주의가 중시하는 과학과 발명이 이끄는 산업 혁명이 사회 전반을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예술가들은 계몽주의와 함께하는 신고전주의 또한 사회를 개혁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자크 루이 다비드

후기 신고전주의 시대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시기에는 강렬한 선, 인공 조명을 이용한 엄숙한 배경, 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요소 등이 강조됐다. 1785년 파리 살롱에 자크 루이 다비드(Jacque-Louis David)의 ‘호라티우스 맹세(Oath of the Horatii, 1784)’가 전시됐다. 다비드가 로마에 있을 당시 완성한 이 작품은 그가 Herculaneum의 유적지에서 영감을 얻고 작업한 결과물이다. 이 작품은 신고전주의 회화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고, 다비드를 이 운동의 핵심 인물로 만들었다. 이 그림은 이후 전개된 프랑스 혁명 운동과 동일시될 만큼 중요한 작품이었다. 프랑스 사회는 혁명을 통해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공화정을 수립하며 정치적, 사회적 격변을 겪었다. 당시 다비드가 프랑스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은 매우 커서 신고전주의 후기는 ‘다윗(다비드)의 시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는 직접 안 루이 지로데 트리오종, 프랑수아 제라르,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등의 예술가들을 가르치기도 했다.

https://dangdy.com/category/서양미술사/

https://www.theartstory.org/